-
학술적업적
1983
3월 국내 최초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성공(성인 림프구성 백혈병)
1985
국내 최초 자가조혈모세포이식 성공
-
1995
국내 최초 비혈연 조직형 일치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성공
1996
국내 최초 제대혈 이식 성공
-
1998
국내 최초 비 골수제거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성공
2000
국내 최초 자가면역질환 조혈모세포이식 성공(다발성경화증)
2001
국내 최초 가족간 반일치 동종조혈모세포이식
2002
세계 최초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간이식 성공
-
2005
전세계 최초로 성인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인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환자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전 imatinib을 사용하여 치료성적을 향상시킨
결과를 혈액학 분야 최고학술지인 Blood에 발표 2008
국내 최초 T/NK 세포 치료 시행
2012
해외(아부다비) 지중해성 빈혈환자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성공
2012
조혈모세포이식을 이용한 면역 관용 신장이식 성공
-
2015
새로운 CXCR4 억제제인 LY2510924의 항백혈병 효능을
혈액학 분야 최고학술지인 Blood에 개제 -
2016
성인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인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에서
이마티닙을 항암화학요법과 병용하는 경우 치료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세계최초로 혈액종양학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Annals of Oncology에 발표 -
2019
발작성야간혈색뇨증에서 세계최초로 새로운 C5 보체 억제제인
Ravulizumab이 기존 억제제인 eculiizumab에 비해 열등하지
않음을 혈액학 최고학술지 Blood에 발표 Romiplostim이 치료에 불응성인 재생불량성 빈혈에서도
효능이 있음을 혈액학 최고학술지 중의 하나인
Lancet Haematology에 발표 세계 최초로 불응성/불내성 만성골수성백혈병에 대한
4세대 티로신키나제 억제제의 치료성적을 세계최고의
의학학술지인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 -
2020
코로나19 상황속 '중증혈액질환' 대책을 통해 정상적으로
진료를 유지 국내최초 세계 권위 학술지
영국혈액학회지(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에 발표
조혈모세포이식 건수
1997
10월 조혈모세포이식 600례 시행
1999
8월 국내 최초 조혈모세포이식 1,000례 시행
2003
7월 조혈모세포이식 2,000례 시행(세계 4위, 아시아단일기관 최고)
2007
3월 비혈연 조혈모세포이식 500례 시행
2009
조혈모세포이식 3,500례 시행
2013
7월 조혈모세포이식 5,000례 시행
2017
8월 조혈모세포이식 7,000례 시행
2019
7월 조혈모세포이식 8,000례 시행
2021
3월 조혈모세포이식 9,000례 시행
기타연혁 (시설,기관)
-
1992
5월 국내 최초 가톨릭 골수이식센터 설립 국제 조혈모세포이식 등록 기관
(Internation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Registry)에 국내 최초 등재 -
1994
12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조혈모세포 이식센터 증, 개축 국내 최초 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 설립
-
1997
아시아 지역(대만) 조혈모세포은행과 협력시작 아시아 지역(일본) 조혈모세포은행과 협력시작
-
2005
미국 조혈모세포은행과 협력 시작 독일 조혈모세포은행과 협력 시작
-
2018
3월 서울성모 혈액병원 설립(6개 센터) -
2022
3월 조직개편, 입원전담진료센터 신설(7개 센터)
MOU
-
2018
3월 서초교향악단과 업무 협약 체결 5월 ㈜VUNO와 업무 협약 체결 9월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과 업무 협약 체결
-
2021
2월 (주) 록스 307 업무 협약 체결 3월 (주) 아이쿱 업무 협약 체결 8월 (주) 유틸렉스 업무 협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