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질환의 종류
백혈병
백혈병이란 백혈구를 생산하는 조직인 골수 또는 림프계에 나타난 종양 세포 즉 백혈병세포가 이상 증식을 하여 이들이 전신의 모든 장기에 침윤 증식하고 말초 혈액 중에도 출현하는 병입니다.
-
급성골수성백혈병 (AML, Acute Myeloid Leukemia)
성인 급성백혈병 중 가장 흔한 형태로서 급성 백혈병의 약 65%을 차지합니다.
인체 조혈세포 중 골수구의 초기 분화세포가 암적인 변이를 일으키고, 이들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분열을 하여 골수 내에 축적이 되어 말초혈액에 골수아세포(백혈병세포)가 나타나게 되며, 말초의 백혈병세포는 각 조직을 침범합니다. 결국 정상적인 골수 기능의 마비로 면역기능 저하가 발생되어 심각한 감염 등으로 인해 환자가 사망하는 급성 질환입니다. -
급성림프모구백혈병(ALL. Acute Lymphoid Leukemia)
림프구계의 백혈구가 미성숙 상태에서 분열을 계속하는 질환입니다.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은 20세 이하 백혈병 환자들의 약85%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아에서 생기는 백혈병 가운데 가장 치료 성적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의 경우 중추신경계로의 전이가 잘 되기 때문에 예방적으로 척수 항암 요법을 시행합니다.<<급성백혈병 치료과정>>
-
만성골수성백혈병 (CML, Chronic Myeloid Leukemia)
전체 성인 백혈병의 약 10%정도를 차지합니다.
30~50세와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성인형 백혈병이라고도 하며, 만성골수성백혈병은 골수구계 세포가 백혈구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긴 악성 혈액질환입니다. 90%의 환자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9번 염색체와 22번 염색체가 상호 전위된 상태) 양성반응이 나오며, 만성기-가속기-급성기로 진행이 됩니다. 표적항암제 치료가 시작된 2001년 이후에는 만성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연간 사망률이 1~2%로 크게 줄어 많은 환자가 장기생존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1)경구항암요법 2)주사항암요법 3)동종조혈모세포이식이 있습니다.
-